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Open Set Recognition
- Federated Transfer Learning
- Agnostic FL
- convergence
- FedProx
- 개인정보
- Fairness
- Differential Privacy
- OoDD
- free rider
- 기계학습
- Federated Learning
- deep learning
- OSR
- 연합학습
- Analysis
- q-FedAvg
- 딥러닝
- PPML
- FL
- FedAvg
- data maximization
- Machine learning
- DP
- q-FFL
- ML
- 머신러닝
- ordered dropout
- value shaping
- OOD
- Today
- Total
Federated Learning
[Tips] $\TeX$ 작업 시 command 확인하는 방법 본문
얼마 전 FedProx 논문을 정리하면서, $1 \ll B \leq 0.5 \sqrt{K}$를 입력해야 하는 일이 있었는데, $\ll$라는 기호는 수학적으로 잘 정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평소에 볼 일이 없었습니다. 직감적으로는 "much more less than" 정도로 읽힐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, 이 기호를 $\TeX$로 어떻게 입력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았습니다. 아마 다른 분들도 논문을 작업하시거나, 발표자료를 준비하시면서 "아니, 이 기호는 어떻게 입력해야 하지?"라고 생각하신 적이 종종 있으시리라 생각합니다. 이런 경우에 제가 애용하는 사이트 하나를 소개하겠습니다.
사이트: https://detexify.kirelabs.org/classify.html
Detexify라는 곳인데,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. 알고 싶은 기호를 그려주면 답으로 예상되는 기호 몇 가지를 반환해줍니다. 옆에 score가 함께 뜨는 것을 보면 예상 가능하겠지만, 머신러닝으로 symbol dataset을 학습시킨 것입니다. 제작자가 dataset도 공개했기 때문에 원한다면 직접 training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. (머신러닝을 연구하기 위해 머신러닝에 의존하는 나)
이 사이트를 알게 된 이후, 주변 사람들에게 "이 기호 뭐라고 읽어요?", "이 기호 $\TeX$에 입력하려면 뭐라고 써야 해요?"와 같은 질문을 할 필요 없게 되었고, 작업 흐름이 끊기는 일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. 여러분들도 Detexify를 이용하여 버려지는 시간을 줄이고, 대신 그만큼 편안한 휴식 시간을 가지시기 바랍니다.
'Ti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ps] $\LaTeX$, Markdown 등으로 표 작성하기 (0) | 2023.04.04 |
---|---|
[Tips] CS 분야 학회 정보 확인하기 (0) | 2022.10.23 |